재테크 11

지금 챙기지 않으면 손해보는 - 연말정산 소득공제/세액공제 세테크 팁

연말정산, 12월에 반드시 챙겨야 손해 보지 않습니다 월급을 받고 생활하는 직장인이라면 찬 바람이 불어올 때 반드시 챙겨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연말정산을 위한 소득공제 / 세액공제 혜택입니다. 연말정산은 국세청에서 1년 동안 간이세액표에 따라 거둬들인 근로소득세를 연말에 다시 따져보고, 실소득보다 많은 세금을 냈으면 그만큼을 돌려주고 적게 거뒀으면 더 징수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연말정산 소득 공제 항목은 해마다 조금씩 변경되고 그 항목 또한 복잡하지만 몇 가지 절세 혜택이 있는 항목들을 챙겨두면 따라 2월의 보너스를 받을 수가 있습니다. 연말 정산 과정을 최대한 간단하게 도식화하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주목할 점은 1. 총급여액에서 이것저것(비과제 소득 & 소득공제)을 하면 과세표준 금액이 나옵..

연금저축 vs IRP? 세제 혜택을 위한 개인 연금 구성 & 연금저축펀드 팁

개인 연금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노인 빈곤 등이 사회 문제가 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스스로 노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개인 연금에 대해 세제 혜택을 주고 있다. 개인연금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 1) 연금저축 그리고 2) 개인형 퇴직연금(IRP)이 있다. 두 가지 모두 세액 공제의 혜택이 있으나 가입조건과 투자 종목, 세제 혜택에 차이가 있다. 연금저축 개인형 퇴직연금 (IRP) 가입 조건 연령에 상관 없이 누구나 가입 가능 소득이 있는 근로자나 자영업자만 가입 투자 가능 상품 실적배당형 상품 (펀드, ETF, 주식, ...) ※ 위험 자산에 100% 투자 가능 원리금 보장형 상품, 실적 배당형 상품 ※ 위험 자산에는 최대 70%까지만 투자 가능 납입 한도 연 1,800만원 연 1,800만원 세액공제한..

[투자정보] 주시해야 할 경제 지표/ 투자 정보 사이트

기업 및 투자 정보 ☑️ 컴퍼니가이드 - comp.fnguide.com - 국내 기업 정보(재무제표, 투자지표, 컨센서스 등) 확인 ☑️ 마켓 비트(★) - https://www.marketbeat.com/ - 애널리스트들의 목표 주가 볼 수 있음 ☑️ FINVIZ - https://www.finviz.com/ - 미국 섹터별 시장 현황 /주가 흐름 조회 가능 리스크 관리 ☑️ 금융투자협회 - http://freesis.kofia.or.kr/ - 증시 자금 & 신용 공여 잔고 추이 확인 ☑️ 물가연동채 (TIPS, Treasury Inflation-Protected Securities) - https://etfdb.com/etfs/bond/tips/ - https://finance.yahoo.com/qu..

[Python] 한국거래소 XML서비스로 주가 정보 가져오기

** 깃허브에서 코드 열기 ** https://github.com/seungyounglim/LittleFox_Investment/blob/master/2020_08_17_%ED%95%9C%EA%B5%AD%EA%B1%B0%EB%9E%98%EC%86%8C_%EC%A3%BC%EA%B0%80%EC%A0%95%EB%B3%B4_%EA%B0%80%EC%A0%B8%EC%98%A4%EA%B8%B0.ipynb seungyounglim/LittleFox_Investment Contribute to seungyounglim/LittleFox_Investmen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한국거래소 기업/시세 공시 정보 제공 서비스 한국거래소에서는 기업..

[구루들의 투자법] 좋은 기업을 적정 가격에 사라

* 만족스러운 주식 수익률은 합리적인 가격에 살 때에만 가능하다 * 5장에서는 가치 평가 방법 중 현금흐름 할인모델(discounted cash flow model, DCF)과 PER에 대해 소개 현금흐름할인모델 "사업의 가치는 자산의 남은 수명 동안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는 현금 유입과 유출에 의해 적절한 금리로 할인해 결정할 수 있다" DCF모델에서는 다음 세 가지를 가정하여 미래 가치를 계산한다. 미래의 사업 성장률 (g, t) 사업의 잔존 수명 연수 (n, m) 할인율 (d) 기업의 내재가치 계산법 - 기업이 잉여현금흐름으로 버는 현재의 순이익을 E(0)라고 하고 사업 성장률을 g라고 할 때, n 년 후 기업이 벌어들일 이익은 $E(n) = E(0)(1+g)^n$ - n년 후 E(n)의 가치를 할인..

재테크/도서 2020.08.04

[구루들의 투자법] 좋을 기업은 어디에서 찾는가

구루들의 투자법 4장에서는 피터 린치가 분석한 투자 기회에 따라 주식의 종류를 여섯 가지로 나누어 분석한다. 자산주 - 자산 가치나 순유동자산 가치, 혹은 순순운전자본보다 주가가 훨씬 낮은 심층 염가주식투자를 의미 - 기업의 기본자산이 어느정도 가치가 있지만 주가에 반영되지 않은 종목 - 오늘날 가치있는 자산은 대개 낮게 계상된 부동산을 의미함 - 워런 버핏은 자산주 투자를 '바보짓'이라고 말함. 자산의 현금화가 아주 쉽거나 청산에 걸리는 시간이 아주 짧거나, 기업이 나쁘지 않게 굴러가고 현금흐름도 충분해 자립에 문제가 없지 않은 한 자산주 투자는 피해야 함. 턴어라운드주 - 엉망으로 부서지고 무너졌으며, 파산 신청도 간신히 할 수 있는 기업 - 린치는 턴어라운드 투자로 여러번 성공함. 주가가 바닥까지 ..

재테크/도서 2020.06.11

[구루들의 투자법] 좋은 기업 판단의 지표 - 이익률, 투하자본수익률, 매출과 순이익

어떤 공장에 들어간다고 칩시다. 그 공장에는 회사의 모든 자산이 다 있기는 하지만,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자산들이죠 ... 나는 자산이 아니라 현금흐름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산이 창출하는 현금 흐름. 바로 거기서 기업의 진짜 가치가 만들어집니다. - 도널드 약트만 꾸준하게 흑자를 내고 좋은 주식 수익률을 창출하며 성장이 빠른 좋은 기업을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기업이 보유한 자산 가치를 할인해 기업 가치를 평가하고, 주가가 이에 한참 못 미칠 때 투자하는 심층가치투자. 그러나 가치가 하락하는 기업을 헐값에 사고서는 오르기를 희망하기보다는,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성장하는 기업을 사야한다. 워런 버핏은 "적당한 기업을 멋진 가격에 사는 것보다 멋진 기업을 적정 가격에 사는 것이 훨씬 낫다"라..

재테크/도서 2020.06.05

[구루들의 투자법] 심층 가치투자와 본질적 문제

심층 가치투자 (Deep value investing) - 자산 가치보다 훨씬 크게 할인된 가격에 주식을 매수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투자 - 기업의 주식을 자산의 평가 가치보다 훨씬 할인된 가격에 매수한 후 주가가 가치에 근접하기를 기다림 - 영업 실적에 관심을 가지지 않고 오로지 대차대조표에만 초점을 맞추어 주식의 가치를 평가 심층 가치투자에서는 오로지 자산의 평가 가치만을 고려하여 저평가된 주식을 매수한다. 이는 투자자가 청산가치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주식을 산다면, 돈을 잃을 걱정이 없다는 아이디어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심층 가치 투자의 개념만 살펴보아도 벌써 이 방법론의 문제점이 눈에 보이는 듯하다. 하지만 여전히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방법을 살펴보도록 한다. 가치 평가 심층 가..

재테크/도서 2020.06.01

[구루들의 투자법] 시장의 구루들 - 도널드 약트만

도널드 약트만 도널드 약트만은 저평가되고 수익성이 좋은 기업에만 투자하는 구식 방법을 고수했다. 기술주 거품이 극에 달했던 1998년에도 그는 이 방식을 고수했으며, 기술주에 투자하던 다른 펀드에 비해 수익성이 안좋아보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의 투자 방식은 거품이 사라진 2000년에 빛을 발하여 S&P 500보다 20% 높은 수익률을 달성했고, 2001년에는 31%, 2002년에는 33%를 앞서는 수익률을 달성했다. 그의 투자법은 금융 위기가 왔던 2008년과 2009년에도 좋은 실적을 거두었다. *** 피터 린치 : 순이익에 따라 기업을 6개로 분류하고, 범주 전체에서 골고루 좋은 투자를 찾아냄 워런 버핏: 그 중에서도 좋은 기업에만 집중 투자 도널드 약트만: 더 나아가 경기 순환에 민감하지 않은..

재테크/도서 2020.05.31

[구루들의 투자법] 시장의 구루들 - 워런 버핏

멋진 기업을 적당한 가격에 사는 것이 적당한 기업을 멋진 가격에 사는 것보다 훨씬 낫습니다. 워런 버핏 - 사업을 이해하고 투자 철학을 가질 것 피터 린치는 주식을 6개의 범주로 분류하고, 각 범주에 따라 어떤 식으로 행동해야 하는지 가르친다. 반면에 버핏은 좋은 기업에만 투자해야 하고, 그런 회사의 주식을 합리적인 가격에 사야 한다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멋진 기업이란 무엇이며, 적정 가격(fair price)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멋진 기업이란? ▷ 첫 번째, 폭넓고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 혹은 경제적 해자 경제적 해자(economic moat)란? - 기업을 경쟁사로부터 보호하고, 새로운 경쟁사가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힘 -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는 기업은 큰 가격 결정력을 ..

재테크/도서 2020.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