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4

[구루들의 투자법] 심층 가치투자와 본질적 문제

심층 가치투자 (Deep value investing) - 자산 가치보다 훨씬 크게 할인된 가격에 주식을 매수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투자 - 기업의 주식을 자산의 평가 가치보다 훨씬 할인된 가격에 매수한 후 주가가 가치에 근접하기를 기다림 - 영업 실적에 관심을 가지지 않고 오로지 대차대조표에만 초점을 맞추어 주식의 가치를 평가 심층 가치투자에서는 오로지 자산의 평가 가치만을 고려하여 저평가된 주식을 매수한다. 이는 투자자가 청산가치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주식을 산다면, 돈을 잃을 걱정이 없다는 아이디어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심층 가치 투자의 개념만 살펴보아도 벌써 이 방법론의 문제점이 눈에 보이는 듯하다. 하지만 여전히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방법을 살펴보도록 한다. 가치 평가 심층 가..

재테크/도서 2020.06.01

[구루들의 투자법] 시장의 구루들 - 도널드 약트만

도널드 약트만 도널드 약트만은 저평가되고 수익성이 좋은 기업에만 투자하는 구식 방법을 고수했다. 기술주 거품이 극에 달했던 1998년에도 그는 이 방식을 고수했으며, 기술주에 투자하던 다른 펀드에 비해 수익성이 안좋아보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의 투자 방식은 거품이 사라진 2000년에 빛을 발하여 S&P 500보다 20% 높은 수익률을 달성했고, 2001년에는 31%, 2002년에는 33%를 앞서는 수익률을 달성했다. 그의 투자법은 금융 위기가 왔던 2008년과 2009년에도 좋은 실적을 거두었다. *** 피터 린치 : 순이익에 따라 기업을 6개로 분류하고, 범주 전체에서 골고루 좋은 투자를 찾아냄 워런 버핏: 그 중에서도 좋은 기업에만 집중 투자 도널드 약트만: 더 나아가 경기 순환에 민감하지 않은..

재테크/도서 2020.05.31

[구루들의 투자법] 시장의 구루들 - 워런 버핏

멋진 기업을 적당한 가격에 사는 것이 적당한 기업을 멋진 가격에 사는 것보다 훨씬 낫습니다. 워런 버핏 - 사업을 이해하고 투자 철학을 가질 것 피터 린치는 주식을 6개의 범주로 분류하고, 각 범주에 따라 어떤 식으로 행동해야 하는지 가르친다. 반면에 버핏은 좋은 기업에만 투자해야 하고, 그런 회사의 주식을 합리적인 가격에 사야 한다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멋진 기업이란 무엇이며, 적정 가격(fair price)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멋진 기업이란? ▷ 첫 번째, 폭넓고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 혹은 경제적 해자 경제적 해자(economic moat)란? - 기업을 경쟁사로부터 보호하고, 새로운 경쟁사가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힘 -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는 기업은 큰 가격 결정력을 ..

재테크/도서 2020.05.31

[구루들의 투자법] 시장의 구루들 - 피터 린치

우리는 배워야 한다. 최고의 사람들로부터 배워야 하며, 실수에서 배워야 한다. 타인의 실수만이 아니라 자신의 실수에서도 교훈을 얻어야 한다. 피터 린치 - 투자 방법론의 기본에 대하여 피터린치 투자의 핵심은 순이익, 부채, 그리고 기업 고유의 특성이다. 1. 순이익 린치는 기업의 순이익과 그 순이익 대비 주가(주가수익비율)를 해당 종목이 좋은 투자인지 아닌지를 가늠하게 해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그는 자산주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면, 기업을 자세히 분석하기 전에 제일 먼저 순이익과 순이익 성장률, 그리고 순이익과 관련된 가치 평가 비율을 가장 먼저 봐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정보는 손익계산서에서 볼 수 있다.) 린치는 모든 주식을 6개 범주로 분류한다. 1. 고성장주(Fast growers) - 순..

재테크/도서 2020.05.30